(TGN 땡큐굿뉴스) 국내 총인구가 외국인 증가에 힘입어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29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우리나라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3년 11월 1일 기준 우리나라 총인구는 5177만 5000명으로 전년 대비 8만 2000명(0.2%) 증가했다.
총인구는 2021년부터 2년 연속 감소하다 2023년 다시 증가세로 전환했으며 연평균 인구 증감률(성장률)은 1995년 이후 1% 미만으로 떨어졌으나 2020년까지는 플러스 성장을 지속하다가, 2021년부터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 후 2023년 다시 플러스 성장으로 전환했다.
내국인은 4983만 9000명(96.3%), 외국인은 193만 5000명(3.7%)으로 전년 대비 내국인은 10만 1000명(-0.2%) 감소했고 외국인은 18만 3000명(10.4%) 증가했다.
내국인은 2021년 이후 해마다 감소했고 외국인은 2020년부터 2년 연속 감소하다 2022년 이후 증가세로 돌아섰다.
15~64세 인구는 70.6%(3654만 6000명)로 2018년 이후 지속해서 감소했다.
성별로는 남자가 2590만 4000명, 여자는 2587만 1000명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3만 3000명 더 많아, 성비(여자 100명당 남자의 수)는 100.1이다
30대가 112.7로 가장 높고, 20대 112.4, 10대 106.2 순이며, 90세 이상이 29.1로 가장 낮다.
연령대별로는 50대 인구가 16.7%(863만 6000명)으로 가장 많고, 40대 15.4% (797만 8000명), 60대 14.7%(761만 4000명) 순으로 많다.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70.6%(3654만 6000명),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18.6% (960만 9000명), 0~14세 유소년인구는 10.9%(561만 9000명)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0~14세 인구는 24만 1000명(-4.1%), 15~64세 인구는 14만 명(-0.4%) 감소한 반면, 고령인구는 46만 2000명(5.1%) 증가했다.
2018년 대비 생산연령인구 비율 2.3%p(-108만 5000명) 감소했다.
중위연령은 45.7세로 전년 대비 0.6세 증가했는데 남자는 44.3세, 여자는 47.2세로 여자의 중위연령이 2.9세 더 많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인구는 15.4로 전년 대비 0.6 감소한 반면, 노년부양비는 26.3으로 1.4 증가했으며, 노령화지수는 171.0으로 2018년(113.9) 대비 57.1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전년 대비 수도권(0.4%), 중부권(0.6%), 도지역(0.3%) 인구가 증가했다.
권역별 인구는 수도권이 총인구의 50.7%(2622만 6000명)로 지속적으로 증가했고 영남권은 24.4%(1262만 7000명)로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특,광역시 인구는 전년 대비 1만 5000명 감소한 반면, 도 지역 인구는 9만 7000명 증가했다.
동,읍,면별로 보면, 동 지역에 전체 인구의 81.3%가 거주하고 있고, 면 지역의 인구는 2018년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2023년 증가했다.
시도별로는 전년 대비 인천,충남 등은 증가했고 경북,광주,부산 등은 감소했다.
경기가 26.7%(1381만 5000명)로 가장 많고, 서울 18.1%(938만 5000명), 부산 6.3%(328만명), 경남 6.3%(327 1000명) 순으로 많았다.
지난 1년간 인천, 충남, 충북, 세종, 경기, 대구, 전남, 제주 등 8개 시도의 인구는 증가했고 그 외 9개 시도는 감소했다.
전년 대비 인구 증가율이 큰 시도는 인천(1.2%), 충남(1.1%) 순이며, 인구 감소율이 큰 시도는 경북(-1.2%), 광주(-0.8%), 부산(-0.5%) 순이다.
특,광역시 중 서울, 부산, 광주, 대전, 울산, 도 지역 중 경북, 경남, 전북은 지난 5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시군구별 인구를 보면, 전년 대비 100개 시군구는 증가, 129개 시군구는 감소했다.
전년 대비 인구가 많이 증가한 시군구는 경기 화성시(4만 3000명), 인천 서구(4만 1000명), 경기 양주시(2만 7000명) 순이었다.
인구가 많이 감소한 시군구는 인천 남동구(-1만 1000명), 경남 창원시(-1만명) 순이었다.
전년 대비 인구 증가율이 큰 시군구는 경기 양주시(11.0%), 대구 중구(10.7%), 인천 서구(7.0%) 순이었다.
인구 감소율이 큰 시군구는 경기 포천시(-3.9%), 경기 광명시(-3.0%), 경기 동두천시(-3.0%) 순이었다.
지역구분별 인구의 연령 분포를 보면, 동,면 지역의 중위연령 격차는 12.1세(동 지역 44.5세, 면 지역 56.7세)였다.
전년 대비 생산연령인구는 중부권은 0.2%(8000명) 증가한 반면, 영남권(-1.1%), 호남권(-0.6%), 수도권(-0.1%)은 감소했다.
연령별로 인구 비율을 보면, 유소년인구는 서울(9.0%), 생산연령인구는 전남(64.2%), 고령인구는 세종(10.5%)이 가장 낮았고, 시도 간 중위연령 격차는 11.2세(전남 50.8세, 세종 39.6세)였다.
시도별 유소년부양비는 세종(25.5), 제주(18.6) 순으로 크고, 서울(12.3), 부산(14.5) 순으로 작았고 노년부양비는 전남(39.5), 경북(35.9) 순으로 크고, 세종(14.8), 경기(21.1) 순으로 작았다.
전년 대비 노령화지수 증감은 강원(20.4)이 가장 높고, 세종(4.6)이 가장 낮았다.
상주 외국인은 2023년 11월 1일 기준 193만 5000명으로 총인구의 3.7%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10.4%(183천명) 증가했다.
남자 109만 3000명(56.5%), 여자 84만 2000명(43.5%)으로 남자가 여자보다 25만 1000명 많아 성비는 129.8이었다.
전년 대비 외국인 남자는 12.8%(12만 4000명), 여자는 7.5%(5만 8000명)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 외국인이 28.0%(54만 1000명)으로 가장 많고, 20대 24.3% (47만명), 40대 16.5%(32만명) 순이었다.
연령별 증감률을 보면 15~64세가 11.4%(17만 7000명) 증가, 65세 이상 11.9%(1만 2000명) 증가한 반면 0~14세는 7.2%(6000명) 감소했다.
국적별로 보면 한국계 중국 53만 2000명(27.5%), 베트남 24만 7000명(12.8%), 중국 22만 1000명(11.4%), 태국 19만 1000명(9.9%) 순이었고 중국, 베트남, 태국이 외국인 전체 인구의 61.6%를 차지했다.
전체 외국인의 58.9%(114만 1000명)가 수도권에 거주하며, 충남 6.6%(12만 7000명), 경남 6.1%(11만 7000명)였다.
[출처=통계청]